금리 인상 코앞, 대출이자 당당하게 낮추는 법

2021-08-26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 지금(26일 오전 8시 기준), 잠시 후면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8월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뚜껑을 열어봐야 알겠지만, 금융회사들은 이미 금리가 오를 거란 분위기예요. 시장 금리는 올해 초부터 오르기 시작했고, 정부가 대출 관리하라고 압박까지 하면서 은행들 명분도 쌓였습니다. 꼼짝없이 이자를 더 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지만, 한 푼이라도 아낄 방법이 있어요. 

나의 권리를 찾자! 금리 인하 요구권 들어보셨나요?

처음 대출받을 때보다 신용상태가 개선됐다면 고객이 은행에 금리를 낮춰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제도예요. 예를 들어, 승진이나 이직으로 대출 약정을 맺었을 때보다 연 소득이 늘어났다면 금리 인하를 요구해볼 수 있어요. 다만 햇살론 같은 정책자금 대출을 받거나 보험사의 보험계약 대출을 받은 경우엔 해당되지 않습니다.

신청은 대면과 비대면 모두 가능합니다. 영업점을 직접 방문한다면 원천징수영수증이나 소득금액증명원 등의 서류를 준비한 뒤 신청하면 됩니다. 비대면은 인터넷이나 스마트뱅킹 등을 통해 가능해요.

여기서 잠깐! 내 신용점수를 바로 확인하는 방법 아시나요? 

나이스평가정보의 '나이스지키미', 코리아크레딧뷰로의 '올크레딧'을 통해 누구나 연 3회 무료로 신용등급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요즘엔 토스와 같은 자산관리 앱을 통해서도 내 신용점수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신용등급을 조회하면 점수가 떨어지지 않냐고요? 많은 분들이 이렇게 오해하고 계시더라고요. (충격적이게도) 과거에는 신용을 조회하는 것만으로 등급에 영향을 준 적이 있었는데요, 2011년 10월 이후로는 신용등급을 조회해도 평가에 절대 반영되지 않는다고 하니 걱정하지 마세요. 신용등급 조회 방법은 금융감독원 서민금융 사이트(여기 클릭)에 자세히 설명돼있으니 참고해보세요.

대출금이 클수록 효과도 크다

다시 금리 인하 요구권 이야기로 돌아와서 대출받은 금액이 크다면 금리 인하 요구권이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요. 여러분이 받을 수 있는 우대 조건이나 금융회사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볼게요. 1억 원을 1년 만기 6.57% 금리로 대출 받았다면 한 달 이자는 54만 7500원, 1년이면 657만 원입니다. 만약 금리 인하 요구를 통해 금리를 0.35% 낮췄다면 금리는 6.22%로 떨어지고, 한 달 이자는 약 51만 8330원, 1년치 이자는 622만 원으로 줄겠지요. 이자 35만 원 정도를 아낄 수 있는 셈입니다. 

은행이 금리 안 내려주면 어떡하지?

은행이 까다롭게 굴면서 '안 해줄까' 걱정되시나요? 지난해 1월부터 10개월 동안 국내 5대 은행에서 금리 인하를 요구해 2만 9000여 명의 고객이 256억 원 상당의 이자를 줄였답니다. 신청건수 대비 금리 인하를 수용한 건수가 얼마나 되는지 볼까요? NH농협은행이 96%로 가장 높았고, 우리은행 72%, 하나은행 53%, 국민은행 46%, 신한은행 43% 순이었어요.

밑져야 본전! 현명한 경제생활을 하는 지식인으로서 내 권리를 당당히 요구해봐요. 



더 보고 싶은 [친절한 경제] 클릭 👇

은행에 이어 증권사도 대출 중단

마통 이용자 날벼락…가계대출 중단 은행권 번지나

2030세대가 아파트를 사들이는 이유


네이버에 유튜브까지 넘치는 정보에 지치셨나요?

중요한 소식만 쉽고 깊이있게 콕 집어 알려드립니다.

경제전파사의 친절한 경제 🗞

매주 화·목·토 오전 8시 카카오톡으로 받아보세요.